
[성명]
더욱 심해진 일본의 역사왜곡, 윤석열 정부가 키워준 꼴이다
강제동원 굴욕해법 폐기하고, 한일관계 원칙적으로 대하라!
일본의 초등학교 교과서에 대한 역사 왜곡 내용이 더욱 심각해졌다. 3월 28일 일본 문부과학성은 교과서 검정심의회를 열어서 내년부터 사용될 149종의 내용을 발표했다.
일본의 교과서 왜곡은 매년 있어왔던 일이지만 올해 발표에 따르면, 역사왜곡의 강도와 범위는 계속 확대되고 있다.
강제동원에 대해서는 강제성을 감추기 위해 ‘징용’, ‘징병’이란 내용을 지우고 ‘지원’이라는 말로 바꿨다. 교과서 점유율 1위인 도쿄서적의 경우 6학년 사회 교과서에서 “조선인 남성은 일본의 병사로서 징병됐다”는 기존의 표현을 “조선인 남성은 일본군에 병사로 참가하게 되고, 후에 징병제가 취해졌다”로 변경했다.
독도의 경우 한국이 ‘불법점거’ 했다며 왜곡의 내용을 한층 높였다. 지금도 일본의 모든 초등학교 교과서에서는 독도가 ‘일본 영토’로 쓰여져 있다. 그런데 내년부터는 ‘일본 고유 영토’라고 한층 강화된 표현을 쓰게 된다. 이는 한 번도 독도가 다른 나라의 영토가 된 적이 없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독도를 한국이 불법점거하고 있다는 일본 정부의 주장이 고스란히 어린이들에게 주입되는 것이다.
올해 간토대지진 사건 100년을 맞이한다. 기존 교과서에서 ‘잘못된 소문이 퍼져 조선인들이 살해를 당했다’는 기술도 사라진다. 초등학교 교과서에는 일본군’위안부‘ 관련한 내용도 없다.
이에 대해 윤석열 정부에서는 “일희일비할 사항이 아니다”라며 필요한 부처에서 대응하라 반응했다. 일본의 역사왜곡 강도의 심각성에 비해 적당히 규탄하고 넘어가는 듯한 모양새다.
지금 일본이 노골적으로 강화된 역사 왜곡을 일삼은 것은 윤석열 대통령 때문이다.
“일본은 이미 수 차례 사죄했다”며 일본 우익의 주장을 그대로 말하고, 일본이 이렇게 조선에 대한 침략 역사를 미화하는데도 일본과 군사협력 하겠다고 한다. 가당키나 한 말인가!
일본 정부는 지금당장 역사왜곡 중단하라!
윤석열 정부는 일본 역사왜곡에 동조말고 단호하게 대응하라!
2023.3.29
서울겨레하나
[성명]
더욱 심해진 일본의 역사왜곡, 윤석열 정부가 키워준 꼴이다
강제동원 굴욕해법 폐기하고, 한일관계 원칙적으로 대하라!
일본의 초등학교 교과서에 대한 역사 왜곡 내용이 더욱 심각해졌다. 3월 28일 일본 문부과학성은 교과서 검정심의회를 열어서 내년부터 사용될 149종의 내용을 발표했다.
일본의 교과서 왜곡은 매년 있어왔던 일이지만 올해 발표에 따르면, 역사왜곡의 강도와 범위는 계속 확대되고 있다.
강제동원에 대해서는 강제성을 감추기 위해 ‘징용’, ‘징병’이란 내용을 지우고 ‘지원’이라는 말로 바꿨다. 교과서 점유율 1위인 도쿄서적의 경우 6학년 사회 교과서에서 “조선인 남성은 일본의 병사로서 징병됐다”는 기존의 표현을 “조선인 남성은 일본군에 병사로 참가하게 되고, 후에 징병제가 취해졌다”로 변경했다.
독도의 경우 한국이 ‘불법점거’ 했다며 왜곡의 내용을 한층 높였다. 지금도 일본의 모든 초등학교 교과서에서는 독도가 ‘일본 영토’로 쓰여져 있다. 그런데 내년부터는 ‘일본 고유 영토’라고 한층 강화된 표현을 쓰게 된다. 이는 한 번도 독도가 다른 나라의 영토가 된 적이 없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독도를 한국이 불법점거하고 있다는 일본 정부의 주장이 고스란히 어린이들에게 주입되는 것이다.
올해 간토대지진 사건 100년을 맞이한다. 기존 교과서에서 ‘잘못된 소문이 퍼져 조선인들이 살해를 당했다’는 기술도 사라진다. 초등학교 교과서에는 일본군’위안부‘ 관련한 내용도 없다.
이에 대해 윤석열 정부에서는 “일희일비할 사항이 아니다”라며 필요한 부처에서 대응하라 반응했다. 일본의 역사왜곡 강도의 심각성에 비해 적당히 규탄하고 넘어가는 듯한 모양새다.
지금 일본이 노골적으로 강화된 역사 왜곡을 일삼은 것은 윤석열 대통령 때문이다.
“일본은 이미 수 차례 사죄했다”며 일본 우익의 주장을 그대로 말하고, 일본이 이렇게 조선에 대한 침략 역사를 미화하는데도 일본과 군사협력 하겠다고 한다. 가당키나 한 말인가!
일본 정부는 지금당장 역사왜곡 중단하라!
윤석열 정부는 일본 역사왜곡에 동조말고 단호하게 대응하라!
2023.3.29
서울겨레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