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욕적인 강제동원 정부해법안 폐기 촉구 활동 (23.01.12-01.28)

2023-02-01
조회수 61

윤석열 정부는 ‘한일관계 정상화’를 운운하며 강제동원 문제를 매국적, 졸속적으로 해결하려 하고 있습니다. 

강제동원 문제해결을 위해 함께 해온 겨레하나도 이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고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쳤습니다. 



1월 12일, 강제동원 해법안 국회토론회
한국기업이 왜 일본 전범기업 대신 배상해야 하는가
굴욕매국 강제동원 정부 해법안 폐기하라!


1월 12일, 정부는 한국기업이 일본 전범기업 대신 강제징용 배상을 하는 굴욕적 해법안을 국회 토론회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했습니다. 

겨레하나는 이날 965개 단체, 39명의 국회의원, 3123명 (1월 12일 오전 9시 기준)의 시민들과 함께 비상시국선언에 동참하며 강제동원 친일해법 폐기하라는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이날 토론회는 그야말로 졸속, 망국적 토론회였습니다. 정부측 패널로 나선 박홍규 고려대 교수는 “‘강제징용 해법’ 일본 아닌 피해자들을 설득할 때”라는 망언을 했고, 심규선 일제강제동원지원재단 이사장은 “65년 청구권협정을 준수하라는 의견이 있다”면서 이 약속을 지키겠다며 이미 예산도 배정했다 발표했습니다. 이들의 발표를 들은 피해자 및 유족분들과 시민들은 여기저기에서 “그 따위 소리 집어치워라!”는 규탄의 목소리를 터트렸습니다. 

▲ 1월 12일 국회 토론회 현장에서 항의행동을 이어나간 겨레하나 


외교부 1차 항의행동과 '한미일 군사동맹 위한 강제동원 굴욕해법' 윤석열 규탄대회
사죄는 커녕 독도 영유권 주장하는 일본과 군사동맹 필요없다.
윤석열 정부는 강제동원 굴욕협상 폐기하라!


1월 17일 1579차 수요시위에 참여한 대학생, 청년겨레하나 회원들은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에서 주최한 외교부 1차 항의행동에 함께 했습니다. 윤석열 정부의 '한일관계 정상화' 방향에 따라 굴욕적, 매국협상을 이어나가는 외교부에 규탄의 목소리를 냈습니다.


▲ 언론에 보도된 1월 17일 외교부 1차 항의방문


28일에는 전국의 겨레하나 회원들이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에 모여 한미일 군사동맹을 위한 강제동원 굴욕해법 반대 행동에 나섰습니다. 특히 굴욕매국정권 윤석열 정부에 맞서 올해를 싸우는 해, 그리고 승리를 위해 힘을 모으는 해로 만들겠다는 선포를 했습니다.

▲ 1월 28일, 1시 '한미일 군사동맹 위한 강제동원 굴욕해법' 윤석열 정부 규탄대회 (상, 하)


이후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이 주최한 외교부 2차 항의방문 후 일본대사관을 거쳐 평화의 소녀상까지 행진을 이어갔습니다. 노동자, 청년, 대학생, 노원과 서대문 등 각계각층 회원들이 함께 분노의 목소리를 냈습니다.


▲ 외교부 2차 항의행동 이후 일본대사관 ~ 평화의 소녀상까지 행진하는 겨레하나


30일 한일 국장급협의에서도 알 수 있듯 일본은 강제동원 사죄배상의 생각이 없습니다. 오히려 일제 강제동원 현장인 사도광산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재신청했고, 하야시 요시마사 외무상은 정기국회 외교연설에서 “독도는 일보 고유의 영토”라 망언을 일삼았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정부는 이 매국협상을 굴욕적으로 이어가고 있습니다. 
한 달에 한 번 꼴로 진행되던 외교부 국장급 협의도 40여일 간 세 차례 진행되는 등 그 속도가 매우 빠르게 진행되는데요. 일본은 전범기업이 배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며 기금 참여 조차 반대하며, 강제동원 피해자 또는 유족이 기금을 받을 경우 ‘구상권’ 포기를 해야한다고 조건을 달고 있습니다. 이는 가해자가 피해자에게 돈을 받으려면 다시는 죄를 묻지 말라는 것으로 사실상 피해자의 입을 막으려는 것과 같습니다. 


3.1운동 104주년,
역사 앞에 당당하고 피해자들의 편에서 정의로운 문제해결을 위해 싸웁시다!


윤석열 정부 첫 3.1절을 앞두고 정부는 ‘한일관계 정상화’라는 이름 아래 강제동원 해법 타결을 위해 속도를 낼 것이 예상됩니다. 앞으로 한 달간 긴급한 상황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강제동원 문제해결을 위해 활동해온 서울겨레하나는 강제동원 문제의 정의로운 해결을 위해 끝까지 활동해 나가겠습니다.